카테고리 없음

AWS클라우드서비스 - (1)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와 AWS 기초

다_녤 2024. 6. 19. 00:50
반응형

 

AWS는 필요할 때마다 EC2 프리티어로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한번씩 사용한 적이 있었다.

 

마침 여름 계절학기 수업으로 AWS클라우드서비스를 들을 기회가 있어, 이번 기회에 step by step 으로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첫 수업에서는 기본적으로 클라우드컴퓨팅에 대한 개요와 필요성에 대해 소개했는데, 궁극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이 필요한 이유는 컴퓨팅 자원에 대해 동적으로 제공량을 조절할 수 ㅎ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용량 예측을 할 필요없다는 말이다.

 

비즈니스가 얼마나 많은 자원을 요구할지, 얼마나 많은 트래픽이 요구될 지 정확한 예측 없이도 실시간으로 자원을 많이 빌렸다 적게 빌렸다 하면서 자유롭게 자원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말한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오늘 글의 제목과 같은 AWS(Amazon Web Service)로 대표된다. 그 외에는 Google에서 제공하는 컴퓨팅서비스도 있고, MS에서 제공하는 애저(Azure)라는 서비스도 있는데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AWS를 많이 사용하는 걸 느꼈다. 여러 채용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기술스택도 그렇고, 컴퓨터공학부 졸업작품을 웹으로 구현한 조들은 하나 같이 AWS를 활용해서 구현하는 걸 보았다.

아무래도 워낙 자료에 대한 접근성도 좋고 라이브러리도 잘 설명 돼 있어서 그런거 같다.

 

[그림] Cloud Computing Service 시장 점유율, 출처) ResearchGate

 

개인적으로  든 생각은 AWS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 여러 곳에 리전(Region)을 두고 서비스를 하는 것으로 하는데, 리전을 어디두냐에 따라서도 유저들 간에 접근속도의 차이가 발생할까? 라는 의문이 든다.

이론 상으로는 무조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을 거 같은데... 한번 GPT한테 물어봐야겠다.

 

[그림] GPT에게 물어본 리전 별 레이턴시 차이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에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가 있는데, 계층을 얼마나 커버리지 하냐에 따라 나뉘는 기준에 따라 붙여지는 이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