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콤퓨타/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9주차 - 데이터 모델링

by 다_녤 2023. 5. 9.
반응형

데이터 모델은 크게 개념적 데이터 모델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개체-관계 모델, 개체-관계 다이어그램으로 나누는데 개체는 entity이고, 관계는 relation으로 표현한다. 추가로 개체가 지닌 속성(attribute)까지 포함하여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변환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쉽다.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1.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 사용자 식별, 데이터베이스 용도 파악, 요구사항 수집 및 명세

 

2. 설계

 a. 개념적 모델링

  - 핵심 Entity(독립개체) 도출

  - ERD(Entity-Relation Diagram) 작성

  -> 개체를 추출하여 관계를 정의하고 ER다이어그램까지 완성필요

 

< ER다이어그램 >

 

b. 논리적 모델링

  - ERD-RDB 모델 사상

  - 개념적 모델링과정에서 하지않았던 상세속성 정의, 정규화, 데이터 표준화

  -> 개념적 모델링 과정에서 도출한 ER다어이그램을 사용하려는 DBMS에 맞게 사상(Mapping)하여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모델을 만드는 과정

 

< 논리적 모델링 >

 

 c. 물리적 모델링

  - DB 개체 정의

  - 테이블 및 인덱스 설계

  -> 실제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물리적 구조 정의 및 구현 과정

 

< 물리적 모델링 >

 

3. 데이터베이스 구현

 

위 과정을 한눈에 보면 아래와 같다.

< 데이터 모델링 과정 >

 

ER모델이란??

-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 구조로 표현

- 핵심요소: 개체, 속성, 관계

  개체는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에 의해 식별됨

 

ER다이어그램이란??

- ER모델을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모델링한 결과물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

- ER모델은 개념적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특정 데이터 모델이나 DBMS와 무관하게 사용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