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프로젝트3

캡스톤프로젝트 (7) - 프로젝트 발표를 마치며.. 드디어 어제, 캡스톤프로젝트의 전시회를 마치고 프로젝트가 종료되었다. 몇가지 회고를 해보고자 하는데, 일단 여러 팀들의 작품발표회 자체를 보면서 얻은 포인트들은 ...1) 서비스 선정에 앞서 관련된 시장을 소개하고, 시장 자체의 성장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점이 좋았다. 2) 시장 내 다른 서비스(제품)과의 차이점을 다룬 팀들도 많았다. 유사한 점과 당 서비스에서 추가한 점, 여타 다른 서비스와의 비교까지. 개별 서비스를 기술적으로 분석하면서 어떤 라이브러리나 도구를 활용했는지까지 파악한 팀은 개발 외에도 많은 시간을 투자한 게 느껴져서 좋게 보였다. 3) 본인들의 서비스를 가지고 하나의 프로모션영상을 제작한 팀 2번에서 다룬 내용을 했던 팀이었는데, 거기에 추가로 프로모션 영상까지 만들었다. 기술의 깊이도.. 2024. 6. 2.
캡스톤프로젝트 (2) - 첫 gathering 사전신청 이후 오늘 드디어 조원들과 첫 수업과 미팅을 가졌습니다. 주제에 대해서 깊이 논의 하였고, 교수님이 요구하신 무엇을 만들지, 어떤 문제의식을 지니고 시작한 것인지, 어떤 기능을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 2주간 면밀히 살을 붙이기로 했습니다. 같은 프론트엔드를 맡게된 분과는 어떤 방식으로 협업할지 그리고 개발연습을 할지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작품의 형태는 SNS 웹서비스이기에 유사한 서비스인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을 클론코딩해보며 공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요즘 다양한 플랫폼에서 SNS클론코딩에 대한 정보가 많아 수월하게 진행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2주 뒤에 다시 만나 내용 업데이트를 하겠습니다. 2023. 9. 8.
캡스톤프로젝트 (1) - 사전준비를 해보자 컴퓨터공학과 캡스톤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생기는 에피소드 경험, 다른 사람들은 같은 삽질을 안할 수 있게 길라잡이(?)가 될 수 있는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흔히 졸업프로젝트라고 부르는 캡스톤 프로젝트, 지금부터 시작을 해봅시다. 제가 재학중인 대학에서는 3학년 2학기에 캡스톤 프로젝트(1)을 하고 4학년 1학기에 캡스톤 프로젝트(2)를 하면서 졸업프로젝트가 완성됩니다. 다른 곳도 비슷하겠지만.. 나름 잘해보고 싶은 마음도 크고, 이런 프로젝트에서 성장할 수 있는 게 많다고 생각해서 글까지 남기면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라고 할만한 프로젝트가 없어서 어떻게 참여해야할 지 감은 잘 안오지만 별로 걱정은 안돼요... 인터넷에 자료가 많기 때문에 일단 사전에는 팀빌딩 / 역할나누기 / 깃헙팀세팅 / .. 2023.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