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WS클라우드서비스 - (1)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와 AWS 기초

by 다_녤 2024. 6. 19.
반응형

 

AWS는 필요할 때마다 EC2 프리티어로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한번씩 사용한 적이 있었다.

 

마침 여름 계절학기 수업으로 AWS클라우드서비스를 들을 기회가 있어, 이번 기회에 step by step 으로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첫 수업에서는 기본적으로 클라우드컴퓨팅에 대한 개요와 필요성에 대해 소개했는데, 궁극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이 필요한 이유는 컴퓨팅 자원에 대해 동적으로 제공량을 조절할 수 ㅎ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용량 예측을 할 필요없다는 말이다.

 

비즈니스가 얼마나 많은 자원을 요구할지, 얼마나 많은 트래픽이 요구될 지 정확한 예측 없이도 실시간으로 자원을 많이 빌렸다 적게 빌렸다 하면서 자유롭게 자원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말한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오늘 글의 제목과 같은 AWS(Amazon Web Service)로 대표된다. 그 외에는 Google에서 제공하는 컴퓨팅서비스도 있고, MS에서 제공하는 애저(Azure)라는 서비스도 있는데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AWS를 많이 사용하는 걸 느꼈다. 여러 채용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기술스택도 그렇고, 컴퓨터공학부 졸업작품을 웹으로 구현한 조들은 하나 같이 AWS를 활용해서 구현하는 걸 보았다.

아무래도 워낙 자료에 대한 접근성도 좋고 라이브러리도 잘 설명 돼 있어서 그런거 같다.

 

[그림] Cloud Computing Service 시장 점유율, 출처) ResearchGate

 

개인적으로  든 생각은 AWS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 여러 곳에 리전(Region)을 두고 서비스를 하는 것으로 하는데, 리전을 어디두냐에 따라서도 유저들 간에 접근속도의 차이가 발생할까? 라는 의문이 든다.

이론 상으로는 무조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을 거 같은데... 한번 GPT한테 물어봐야겠다.

 

[그림] GPT에게 물어본 리전 별 레이턴시 차이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에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가 있는데, 계층을 얼마나 커버리지 하냐에 따라 나뉘는 기준에 따라 붙여지는 이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