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3 웹게임 개발기 (8) - docker compose 로 배포 test 하기 기본적인 구색이 다 갖춰져 이제는 홈서버로 쓰는 노트북에서 docker compose로 배포 test를 진행해보았다. test 중 nodemon is not found 에러가 발생했는데, 이는 기본적인 nodejs 이미지에 nodemon이 없어서 그렇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1. 원격접속 시 terminal에서 확인가능한 상황과 직접 terminal을 조작하여 확인가능한 상황이 다르다.위 글 2줄을 적고 하루종일 도커랑 Mongodb랑 씨름을 했다. 원인모를 문제로 인해 도커는 이번주 내내 켜지지도 않고 문제는 지속되고 있어서, ssh 로 원격 노트북에 접속한 다음에 그 노트북에서 도커를 돌리려니까, 로그인된 사용자가 같음에도 원격 노트북에서 직접 터미널을 열어서 docker 명령어를 치면 인식되고, .. 2025. 1. 16. 웹게임 개발기 (3) - 세부적인 요소와 data holder 만들기 오늘은 게임이 진행중에 보여질 /game page의 세부요소와 data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data holder들을 정의했다. 기본적으로 game page에서 부터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 처럼 구성하여 상대방/나의 정보, 게임진행정보, 실시간 채팅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아래에서 border로 감싼 부분들은 다 실 서비스에서는 데이터를 가져올 자리들이다. 일종의 Data holder 역할을 하는 것이다. 찾아보면 react와 같은 기술에서는 안에 들어가는 정보를 일종의 상태(state)로 root component에서부터 전파시키면서 반영을 하는데, 일단은 그게 중요한 게 아니다 보니 바닐라로 바로바로 textContent에 넣는 식으로 작성했다. 또한, 중.. 2025. 1. 9. 도커 쓰면서 매번 까먹는거 알고리즘 수업마다 채점을 docker로 진행한다고 하여 나도 제출 전에 local에서 한번 test를 하고 넘기는데 처음에는 이런 기능이 있는지도 모르고 vi에 그대로 치고 있었다. 혹시..? 하고 찾아봤더니 바로 나오더라. 명령어를 매번 잊어버리는ww 컨테이너 -> 로컬 $ docker cp 컨테이너이름:파일경로 로컬위치 로컬 -> 컨테이너 $ docker cp 파일경로 컨테이너이름:로컬위치 2023. 10. 22. 이전 1 다음